이더리움이 최근 4,700달러를 기록하고 잠재적인 알트코인 시즌이 진행되면서 강세 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모멘텀은 밈코인, 특히 개를 테마로 한 토큰들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으며, 이들 토큰이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많은 거래자들에게 이들 코인은 현재 매수하기 좋은 최고의 암호화폐 중 하나로, 단기 거래 기회와 장기적 수익 가능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기존 인기 코인부터 새로운 고수익 프로젝트까지, 주목할 만한 개 테마 코인들을 살펴본다.
도지코인(DOGE)
도지코인은 밈 코인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름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여전히 거래 방법을 아는 트레이더들에게 잠재력을 제공한다. 많은 이들에게 DOGE는 장기 보유보다는 스윙 트레이딩 기회로 여겨진다. 전략은 간단하다. 상당한 규모의 포지션으로 진입해 적당한 수익에서 이익을 실현하고 다음 기회로 넘어가는 것이다.
예를 들어 1만 달러를 투자해 20%에서 40%의 수익을 얻으면 한 달 임대료나 그 이상을 쉽게 충당할 수 있다. 위험 감수 능력이 높은 투자자들은 보유 자본에 따라 포지션 규모를 5만 달러나 10만 달러까지 늘리기도 한다.
도지코인이 최근 들어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지만, 올해 시가총액이 약 600억~700억 달러까지 정점에 도달한 바 있다. 현재 350억 달러 평가액을 기준으로 볼 때 2배 상승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도지코인과 같은 우량 밈코인에서 2배 수익률만으로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도지코인이 달성한 최고 시가총액은 일론 머스크의 공개적 지지가 절정에 달했던 시기 약 730억 달러였으며, 이는 그가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에 출연하면서 정점을 찍은 후 급격한 하락의 시작점이 되었다. 다음은 도지코인을 구매하는 방법과 장소에 대한 안내다.
도지코인의 성장이 이제 제한적일 수 있다고 보는 투자자들이 더 높은 위험과 더 큰 수익을 추구한다면, 훨씬 큰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는 더 위험한 개 테마 대안들이 존재한다.
맥시 도지(MAXI)
맥시 도지는 암호화폐 강세장의 힘과 모멘텀을 포착하기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밈 코인이다. 처음에는 또 다른 도지코인 스타일의 토큰으로 보일 수 있지만, 고위험 거래와 인생을 바꿀 수익에 대한 꿈을 상징하는 보디빌딩과 카페인으로 무장한 시바 이누 마스코트를 통해 한 단계 더 나아간다.
이 마스코트는 밈 코인 세계에서 항상 다음 1000배 수익을 쫓는 ‘디젠’ 트레이딩 집단을 반영한다. 맥시 도지는 위험과 보상 속에서 성장하는 트레이더들을 겨냥하며, 대담한 ‘짐 브로’ 스타일을 사용하고 극한 레버리지를 제공하는 선물 거래소와의 파트너십을 목표로 한다.
팀은 $MAXI 보유자들을 위한 독점 온라인 트레이딩 경연대회를 통해 강력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행사에는 리더보드와 최고 성과자들을 위한 상품이 포함될 예정이다.
프로젝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맥시 도지는 전체 공급량의 25%를 유동성 및 파트너십 캠페인에 할당하는 맥시 펀드를 조성했다.
유튜브 구독자 35만 5천 명을 보유한 암호화폐 분석가 오스틴 힐턴은 맥시 도지가 도지코인 보유자들에게 흥미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맥시 도지는 가격 변동성을 제한하면서 보유자들에게 수동적 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이킹을 제공한다. 토큰 보유자들은 현재 최대 300%의 연간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 사전 판매는 지금까지 약 90만 달러를 모금했으며, 이는 올해 밈 코인 카테고리에서 구매할 만한 최고의 암호화폐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거래소 상장까지 시간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구매자들은 공식 맥시 도지 사전 판매 사이트를 통해 할인된 토큰을 확보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구매는 ETH, USDT, USDC, BNB 또는 신용카드를 통해 가능하다.
도지코인은 여전히 최대 규모의 밈 코인으로, 출시 이후 최대 267,000%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340억 달러가 넘는 시가총액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모가 향후 성장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다. 많은 투자자들이 이제 차세대 개 테마 코인을 찾고 있으며, 맥시 도지가 2025년 최고의 프리세일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바이누(SHIB)
시바이누는 광범위한 생태계 덕분에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토큰과 여러 제품, 그리고 강력한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다. 폭넓은 활용성과 브랜딩 파워를 바탕으로 SHIB는 밈코인 시장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재 약 90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는 SHIB는 대규모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사이클 최고점에서 이 토큰은 350억 달러 시가총액까지 급등했으며, 이는 현재 도지코인이 거래되고 있는 수준과 동일하다.
이러한 과거 기록을 바탕으로 시바이누는 해당 고점을 재방문할 경우 잠재적으로 4배에서 5배의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어,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있는 트레이더들에게 매력적인 상승 여력을 제공한다.
SHIB Price Analysis: Bullish Breakout
Overview: SHIB breaks falling wedge, signaling bullish momentum.
Technical Analysis:
• Price: ~$0.0000137 (+3.66% 24h).
• Support: $0.00001242.
• Targets: $0.00001471–$0.00001600.
• Indicators: RSI 83.57, volume $241.07M, MA50… pic.twitter.com/LrGs4DR7Fi— ⚜️Rich X Cult ⚜️ (@RichXCult) August 13, 2025
애널리스트 리치 X 컬트는 0.00001242달러를 시바이누의 이상적인 진입 가격으로 제시했다. 해당 토큰이 최근 하락 쐐기 패턴을 돌파했으며 현재 0.000016달러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1년간 시바이누의 시가총액은 약 160억 달러에서 80억~90억 달러 수준으로 하락했으며, 이는 밈코인의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올해 최고점에 도달하려면 2배 상승이 필요하지만, 사상 최고치와는 여전히 상당한 격차가 있어 시장 상황이 강세로 전환될 경우 대폭적인 성장 여지가 남아있다.
플로키(FLOKI)
플로키는 밈코인 분야에서 가장 저평가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마케팅 전략을 보유하고 있다.
팀의 적극적인 홍보 활동으로 브랜드가 수많은 플랫폼과 현실 공간에서 가시성을 확보하며,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넘어서는 광범위한 인지도를 형성하고 있다.
The Floki Trading Bot makes it easy to switch between @ethereum, @BNBCHAIN, @base, and @solana, all in just a few taps.
Watch this quick guide to see how to change blockchains instantly and keep trading without missing a beat.
Powered by $FLOKI. pic.twitter.com/nb2DbM4bkA
— Floki Trading Bot (@flokitradingbot) August 13, 2025
이 프로젝트는 플로키 트레이딩 봇과 같은 실용적인 도구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몇 번의 탭만으로 이더리움, BNB 체인, 베이스, 솔라나 간을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으며, 즉시 블록체인을 변경해 중단 없는 거래가 가능하다.
현재 시가총액 약 10억 달러로 평가받는 플로키는 상당한 성장 여지를 보유하고 있다. 확장되는 생태계와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이 프로젝트는 향후 강력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다음 강세장에서 매수할 최고의 암호화폐를 찾는 투자자들에게 플로키의 실용성, 브랜드 노출도, 커뮤니티 결속력이 결합된 특성이 유력한 선택지로 부상하고 있다.
프로키는 이전 시장 사이클 동안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으며, 그 이후 새로운 제품과 파트너십, 이니셔티브를 추가하여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암호화폐 X(트위터) 논의를 지배하지는 못할 수 있지만, 플로키는 현실 세계에서 주목할 만한 입지를 구축했다. 커뮤니티의 결속력과 브랜드 노출, 그리고 활발한 개발 활동이 결합되면서 다음 강세장에서 상당한 상승세를 보일 유력한 후보로 평가받고 있다.








